Logger Script

커뮤니티

고객센터

1644-9260

  • 평일
    09:00 ~ 18:00
  • 점심시간
    12:00 ~ 13:00
  • 주말 · 공휴일 휴무

이메일상담help@ok114114.com

계좌번호

355-0085-6243-13

입금은행

예금주 : (주)일하자닷컴

취업꿀팁 분류

《실수령액 완전정복 시리즈 1 : 실질임금》_월급은 그대로인데 지갑이 얇아지는 이유

작성자 정보

컨텐츠 정보

  • 30 조회
  • 0 추천

본문

32460edde299809a02833bf009a2f61f_1762491963_9627.jpg


최근 몇 년간 “월급은 그대로인데 생활은 더 빠듯해졌다”는 이야기를 자주 듣습니다.
분명 통장에 들어오는 금액은 변하지 않았는데, 장보기도 어렵고 외식 한 번이 부담스러워졌습니다.

이런 현상의 핵심에는 ‘실질임금(Real Wage)’이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오늘은 우리가 체감하는 ‘실제 월급의 가치’, 즉 실질임금의 의미와 변화, 그리고 개인이 지킬 수 있는 방법까지 정리해보겠습니다.


 
32460edde299809a02833bf009a2f61f_1762491963_9986.jpg


1. 실질임금 vs 명목임금, 무엇이 다를까

우리가 월급 명세서에서 보는 금액은 ‘명목임금(Nominal Wage)’입니다.
즉, 세금이나 공제 전후를 불문하고 단순히 받는 돈의 크기를 말하죠.

하지만 중요한 것은 ‘그 돈으로 무엇을 살 수 있느냐’입니다.
이를 나타내는 것이 바로 ‘실질임금(Real Wage)’, 즉 물가를 고려한 임금의 실제 가치입니다.

예를 들어, 월급이 300만 원에서 310만 원으로 올랐더라도, 물가가 5% 상승했다면 실질임금은 오히려 줄어든 셈입니다.

쉽게 말해 “돈은 늘었지만 살 수 있는 물건은 줄었다”는 것이죠.


 
32460edde299809a02833bf009a2f61f_1762491964_0628.jpg


2. 최근 실질임금, 정말 줄고 있을까?

통계청 ‘임금근로 일자리 통계(2025년 2분기 기준)’에 따르면, 전년 동기 대비 명목임금은 약 3.1% 상승했지만 실질임금은 0.4% 감소했습니다.
이는 소비자물가 상승률(3.5%)이 임금 상승률을 앞질렀기 때문입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경제전망보고서(2025)’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습니다.

2023년 이후 세금·금리·생활비 상승이 이어지며, 실질 구매력이 줄어드는 ‘체감 소득 감소 현상’이 심화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 단순히 임금이 오르는 것이 중요한 게 아니라, 물가를 이길 만큼의 인상이 이뤄져야 실질임금이 유지되는 셈입니다.


 
32460edde299809a02833bf009a2f61f_1762491964_0904.jpg


3. 체감 소득이 줄어드는 진짜 이유

실질임금 하락의 가장 큰 원인은 물가와 생활비 구조의 변화입니다.
특히 주거비·식비·교통비 등 필수지출 항목의 비중이 커지면서, 소득의 체감 가치는 더 빠르게 떨어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20년 대비 2025년 기준으로 외식비 22% 상승, 전세 및 월세 18% 상승, 교통비 15% 상승 (국토교통부·통계청 기준) 등이 이어지면서, 같은 월급으로도 지출 여유가 줄었습니다.

결국 실질임금 하락은 단순한 통계 수치가 아니라, 생활 체감의 변화로 이어지는 문제입니다.


 
32460edde299809a02833bf009a2f61f_1762491964_1205.jpg


4. 실질임금을 지키는 개인 전략

물가와 임금은 개인이 조정하기 어렵지만, 실수령액의 체감 가치는 관리할 수 있습니다.
다음 세 가지는 현실적으로 실질임금을 ‘지키는’ 방법입니다.

1. 고정비 점검 : 통신비·구독료·보험 등 자동이체 항목을 분기별로 점검해 불필요한 지출 줄이기.
2. 생활비 분리 : 월급 통장에서 생활비·저축·비상금 계좌를 분리해 체감 관리 효율화.
3. 복지·세금 활용 : 근로장려금(EITC), 청년도약계좌, 절세형 저축상품 등으로 실수령액 대비 순이익 확대.

이러한 관리법은 단기 수입 증대보다 체감 가치 방어에 더 효과적입니다.


 
32460edde299809a02833bf009a2f61f_1762491964_1501.jpg


실질임금은 단순히 숫자가 아니라, ‘내 삶의 여유’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명목임금이 올라도 물가를 이기지 못하면 결국 체감 소득은 줄어듭니다.

지금 시점에서는 ‘얼마 버느냐’보다 ‘그 돈으로 얼마나 살 수 있느냐’를 따져봐야 할 때입니다.

다음 편에서는 이 흐름을 이어,《실수령액 완전정복 시리즈 : 물가연동》– 임금 인상률보다 중요한 ‘체감 급여’의 진실 편으로 연결해 구체적인 물가 연동 구조를 살펴보겠습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p b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