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ger Script

커뮤니티

고객센터

1644-9260

  • 평일
    09:00 ~ 18:00
  • 점심시간
    12:00 ~ 13:30
  • 주말 · 공휴일 휴무

이메일상담help@ok114114.com

계좌번호

355-0085-6243-13

입금은행

예금주 : (주)일하자닷컴

"격주 4일제, 연봉 1.8억? 신의 직장"

작성자 정보

컨텐츠 정보

본문

0ffaf18753680ebf85d41ddbdd1d654f_1755655171_1122.png 

격주 4일제에 연봉 1.8억? ‘신의 직장’ SK텔레콤의 놀라운 복지와 실적


요즘 취준생들 사이에서 “넘사벽 기업”이라 불리는 곳이 있습니다.
누구나 이름은 알고 있지만, 실상은 잘 모를 수도 있는 그곳. 바로 SK텔레콤(SKT) 입니다.
과연 어떤 회사이길래 '신의 직장'이라는 별명이 붙었을까요?
연봉, 복지, 실적, 채용 기준까지 하나씩 살펴보며 그 이유를 제대로 정리해드릴게요.
 


0ffaf18753680ebf85d41ddbdd1d654f_1755655239_3479.png 

 평균 연봉이 무려 ‘1억8000만원’?


SK텔레콤은 단순히 “대기업”이라는 타이틀을 넘어서, 국내 통신 3사(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중에서도 압도적인 성과를 보여주는 기업입니다.
특히 올해 발표된 2025년 상반기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SKT 직원의 평균 급여는 무려 9200만원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이걸 연간으로 환산해보면 약 1억8000만원 수준.
물론 단순 평균값이라 직무·연차에 따라 차이는 있겠지만, 대기업 기준으로도 매우 높은 수준입니다.



0ffaf18753680ebf85d41ddbdd1d654f_1755655289_0956.png

주요 기업 상반기 평균 급여 비교:


  • SK텔레콤: 약 9200만원 (연간 약 1억8000만원 수준)

  • LG유플러스: 약 6300만원

  • KT: 약 5600만원

  • 삼성전자: 약 6000만원


이쯤 되면 "역시 넘사벽"이라는 말이 괜히 나오는 게 아닙니다.


0ffaf18753680ebf85d41ddbdd1d654f_1755655330_3383.png

 대표이사 연봉 클래스도 남다르다


일반 직원뿐만 아니라 경영진도 마찬가지입니다.
SKT의 유영상 대표이사는 2025년 상반기 동안에만 26억3600만원의 보수를 수령했는데요,
이 중 18억2000만원이 '상여금' 이라는 점에서, 회사 실적과 리더십에 대한 평가가 강하게 반영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비교하자면


  • KT 대표: 14억 3700만원

  • LG유플러스 대표: 7억 1400만원


단순히 많이 받는 것이 아니라, 성과 기반 보상 체계가 잘 갖춰진 조직이라는 인상을 줍니다.


0ffaf18753680ebf85d41ddbdd1d654f_1755655347_0281.png

 ‘통신 + AI’ 융합으로 차별화된 성장


SK텔레콤은 그저 오래된 통신 기업이 아닙니다.
최근 몇 년 간 AI(인공지능) 기술에 적극 투자하며 통신 + AI 융합 전략을 강하게 추진해 왔죠.
그 결과, 2024년 기준 영업이익은 1조8234억원으로
이통 3사 중 유일하게 전년 대비 4% 상승하는 성과를 거뒀습니다.

반면,


  • KT는 영업이익이 무려 50.9% 감소

  • LG유플러스는 13.5% 감소


이는 SKT가 단순히 통신에 머무르지 않고, 미래 산업으로 확장하는 데 성공하고 있다는 신호입니다.
실제로 SKT는 "글로벌 AI 컴퍼니" 로의 도약을 선언하며, 관련 기술·서비스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어요.


0ffaf18753680ebf85d41ddbdd1d654f_1755655365_2634.png

 ‘격주 4일제’ 도입…대기업 중 거의 유일!


이쯤에서 “연봉 높은 건 알겠는데, 복지는 어때?”라는 질문이 생길 수 있겠죠.

SKT의 복지 제도 중 가장 주목받는 것이 바로 ‘해피 프라이데이’ 제도입니다.
이 제도는 매달 둘째 주, 넷째 주 금요일을 전사 휴무일로 지정해, 직원들이 격주로 4일 근무를 할 수 있도록 만든 정책이에요.

즉, 매월 두 번은 금요일까지 포함해 금토일 3일 연속 휴식이 가능하다는 뜻입니다.


이건 단순한 ‘휴가’가 아니라, 전사 차원의 공식적인 휴무일이라 실질적인 워라밸에 큰 영향을 줍니다.


이런 제도는 국내 대기업 중에서도 매우 드물며, 특히 2030세대 취준생과 직장인들에게는 엄청난 매력 포인트가 됩니다.


0ffaf18753680ebf85d41ddbdd1d654f_1755655380_8172.png

 신입 채용 기준도 독특하고 합리적


복지와 연봉이 뛰어난 만큼, 당연히 신입 채용의 기준도 까다로운 편입니다.
작년 공개채용에서는 아래와 같은 제한 조건이 있었죠:

2024년 졸업자 또는 2025년 2월 졸업 예정자만 지원 가능

이게 무슨 의미냐면, 졸업 후 시간이 꽤 지난 경력 지원자보다는
*취업을 준비 중인 ‘진짜 신입’ 에게 기회를 주겠다는 뜻입니다.

SKT 측은 이에 대해


“직무 경험을 쌓기 어려운 취준생들에게 실질적인 기회를 주기 위한 조건”
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즉, 형식적인 ‘신입 공채’가 아닌, 실제 신입에게 집중된 채용 정책이라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꿈만 같은 직장, 하지만 현실입니다”

SK텔레콤은 그야말로 ‘신의 직장’이라는 별명이 과장이 아니죠.
높은 연봉, 안정적인 실적, 미래지향적인 사업 전략, 그리고 파격적인 복지까지.
물론 입사 경쟁률은 매우 높고, 준비도 만만치 않겠지만,
AI, 데이터, 통신, UX, 전략기획 등 관련 분야에 열정을 가진 분들이라면 충분히 도전해볼 만한 회사입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p b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