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별 임금 격차, 왜 줄지 않고 더 벌어졌을까?
컨텐츠 정보
- 201 조회
 - 0 추천
 
본문
성별 임금 격차, 왜 줄지 않고 더 벌어졌을까?
최근 여성가족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남성과 여성 간 평균 임금 격차가 오히려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남성 근로자의 평균 연봉은 약 9,780만 원, 여성은 약 6,773만 원으로 무려 3천만 원 가까운 차이가 확인되었습니다.
2023년 기준 성별 임금 격차는 26.3%였는데, 지난해에는 30.7%로 4.4%포인트나 늘어난 수치입니다.
근속연수 격차가 줄었음에도 불구하고 임금 격차가 더 벌어졌다는 점에서 많은 사람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임금 격차 확대, 그 배경은?
이번 조사는 공시 대상인 2,980개 기업을 분석한 결과입니다.
특히 제조업, 정보통신업, 금융·보험업 등 종사자가 많은 산업에서 격차가 크게 확대되었는데요.
제조업은 2023년 20%에서 지난해 29.1%로 9.1%포인트 증가
정보통신업은 4.3%포인트 확대
금융·보험업도 1.0%포인트 상승
반면 예술·스포츠·여가 서비스업(15.8%), 숙박 및 음식점업(17.7%)은 상대적으로 격차가 적었습니다.
이처럼 산업 구조와 직종 특성에 따라 남녀 간 임금 차이가 다른 양상으로 나타났습니다.
근속연수는 줄었는데, 왜 임금 격차는 확대됐을까?
조사 결과에 따르면 남성의 평균 근속연수는 11.8년, 여성은 9.4년으로 격차는 줄어들었습니다.
2023년 근속연수 격차가 23.0%였던 것에 비해 지난해에는 20.9%로 감소했으니까요.
보통 근속연수 격차가 줄면 임금 격차도 줄어드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번 결과는 달랐습니다.
여가부는 그 이유를 직급, 직무, 고용 형태 등 다양한 구조적 요인에서 찾았습니다.
단순히 오래 근무한다고 임금이 따라오지 않는 구조, 여성들이 승진에서 불리하거나 경력단절을 경험하는 구조가 여전히 존재한다는 뜻입니다.
성별 임금 격차의 핵심 포인트
성별임금격차
남성 9,780만 원 vs 여성 6,773만 원 → 격차 30.7%
산업별 차이
제조업 29.1%, 정보통신업 34.6%, 금융업 30% 등 주요 산업에서 격차 확대
근속연수
남성 11.8년, 여성 9.4년 → 근속연수 격차는 줄었지만 임금 차이는 여전
구조적 요인
직급, 직무 내용, 고용 형태, 승진 기회 등 복합적인 원인 존재
이 4가지 포인트만 보아도, 단순히 개인의 노력 문제로 돌릴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공공기관은 다른 결과가 나왔다
흥미로운 점은 공공기관에서는 민간기업과는 반대의 결과가 나왔다는 것입니다.
공공기관 344개를 분석한 결과,
남성 평균 임금 7,267만 원
여성 평균 임금 5,816만 원
임금 격차 20.0%로 2023년 대비 2.7%포인트 감소
또한 근속연수 격차도 큰 폭으로 줄었습니다.
남성 10.5년, 여성 8.4년으로 차이가 19.9%였는데, 이는 2023년 29.0%에서 9.1%포인트 감소한 수치입니다.
이는 공공기관이 상대적으로 임금체계와 승진 구조가 투명하고, 성평등 관련 제도가 꾸준히 개선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임금 격차 해소를 위한 주요 조치
고용평등임금공시제 : 기업별 성별 임금 현황을 투명하게 공개
직급·직무 분석 : 임금 결정 과정에서 성별 불균형 원인 파악
경력단절 관리 : 육아·휴직 등으로 발생하는 단절 문제 보완
산업별 격차 모니터링 : 제조업, IT, 금융업 등 주요 산업의 추이를 정기적으로 확인
이러한 조치들은 단순히 임금을 맞추는 수준이 아니라,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반이 됩니다.
마무리 : 공정한 일터를 위하여
성별 임금 격차는 단순한 수치가 아니라 사회 구조의 문제를 반영합니다.
근속연수 차이가 줄었음에도 불구하고 임금 격차가 더 벌어진 것은 개인의 능력이 아니라 제도와 구조의 불균형 때문이라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제는 성별이 아니라 능력으로 평가받는 사회가 필요해요."
앞으로는 공시 제도, 기업의 투명성, 정부의 정책이 함께 맞물려야 성별 임금 격차를 줄이고,
모두가 공정한 일터에서 평등하게 보상받는 사회로 나아갈 수 있을 것입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