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ger Script

네이버 구글에서 114114구인구직을 검색해보세요!

커뮤니티

고객센터

1644-9260

  • 평일
    09:00 ~ 18:00
  • 점심시간
    12:00 ~ 13:00
  • 주말 · 공휴일 휴무

이메일상담help@ok114114.com

계좌번호

355-0085-6243-13

입금은행

예금주 : (주)일하자닷컴

태도 좋은 지원자가 합격하는 이유 3가지 | 면접관 시선에서 본 평가 포인트

작성자 정보

컨텐츠 정보

  • 115 조회
  • 0 추천

본문

21ad397ca65eaa6b91d1581b78ff75da_1762761503_8344.jpg



면접 준비를 하면서 많은 지원자는 “무엇을 말할까”에 집중하지만, 실제 면접관이 보는 것은 말 내용보다 태도가 중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사람인이 조사한 면접 평가 요소에 따르면, 면접관의 68%가 태도와 성실성을 가장 중요한 합격 요인으로 꼽았습니다.

즉, 스펙이나 경험보다 태도가 우선이라는 의미입니다.


기업이 이를 중요하게 보는 이유는 명확합니다.

조직이 원하는 인재는 단순히 ‘잘하는 사람’이 아니라 함께 일하기 좋은 사람입니다.


그렇다면 면접관이 보는 ‘좋은 태도’란 무엇일까요?

지금부터 현장에서 공통적으로 꼽히는 세 가지 핵심 포인트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출처 : 사람인 <면접 평가요소 조사> (2024)




21ad397ca65eaa6b91d1581b78ff75da_1762761503_8534.jpg


① 질문보다 ‘태도’를 먼저 본다 : 진정성 있는 태도

면접관이 가장 먼저 보는 것은 말의 진정성입니다.
한국고용정보원의 <직무역량 평가 가이드>에 따르면, 긍정적인 인상을 주는 요인 1위는 자기 경험을 솔직하게 전달하는 태도입니다.

대단한 프로젝트보다, 자신이 맡은 일을 솔직히 설명하고 배운 점을 말하는 지원자가 신뢰를 얻습니다.
예 : “팀에서 조연 역할이었지만 끝까지 맡은 일을 완수했습니다” → 겸손하면서도 책임감을 보여주어 좋은 평가로 이어집니다.


 
21ad397ca65eaa6b91d1581b78ff75da_1762761503_8707.jpg


태도는 말뿐 아니라, 눈맞춤, 목소리 톤, 표정, 자세 등 비언어적 요소에서도 드러납니다.
실제로 긍정적 신호를 보인 지원자가 합격 확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출처 : 한국고용정보원 <직무역량 기반 채용 가이드> (2023)


 
21ad397ca65eaa6b91d1581b78ff75da_1762761503_9025.jpg


② 완벽한 답보다 ‘경청 태도’ : 소통 능력

잡코리아 HR리서치센터 조사에 따르면, 면접관 60% 이상이 경청 태도를 중요한 합격 요소로 꼽았습니다.
단순히 고개를 끄덕이는 수준이 아니라, 질문을 이해하고 자신의 생각을 정리해 답하는 능력이 핵심입니다.

예 : “팀 내 갈등을 해결한 경험이 있나요?” → “상황이 발생했을 때 팀 목표와 구성원 의견을 먼저 확인했습니다”
이처럼 논리적 사고와 소통 능력을 동시에 보여줄 수 있습니다.


 
21ad397ca65eaa6b91d1581b78ff75da_1762761503_9352.jpg


면접관들은 이런 태도에서 협업 능력과 조직 적응력을 읽습니다.
즉, 면접은 ‘말 잘하는 시험’이 아니라 듣고 소통하는 능력의 무대입니다.

출처 : 잡코리아 HR리서치센터 <면접 만족도 리포트> (2024)


 
21ad397ca65eaa6b91d1581b78ff75da_1762761503_9619.jpg


③ 긴장해도 괜찮다 : 회복력

HRD KOREA 채용평가 리포트에 따르면, 긴장이나 실수에도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집중하는 지원자가 면접관에게 신뢰감을 줍니다.

예: 답변 도중 말을 잠시 잃었을 때 → “죄송합니다, 다시 정리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이런 대처능력은 실수를 감추려는 태도보다 성숙하게 보여집니다.

면접관은 이 과정에서 위기 대처 능력과 감정 조절력까지 확인합니다.


 
21ad397ca65eaa6b91d1581b78ff75da_1762761503_9848.jpg


압박 상황에서도 태도를 유지하는 지원자는 → “조직 내에서 스트레스 상황에도 적응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하게 됩니다.

출처 : HRD Korea <채용면접 평가 리포트> (2024)


 
21ad397ca65eaa6b91d1581b78ff75da_1762761504_0369.jpg


면접에서 좋은 인상을 남기는 것은 말솜씨가 아닙니다.
진정성 있게 대화하고, 질문을 존중하며, 긴장 속에서도 끝까지 집중하는 태도, 이 세 가지가 합격의 기준입니다.

면접은 단 한 번의 대화지만, 그 안에서 성실함·소통력·회복력이 드러납니다.

기업이 원하는 것은 완벽한 사람이 아니라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사람’이며, 태도는 스펙보다 오래 남습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p back